국어 어휘의 다양한 양상-(1)방언 (2)은어, 속어 (3) 금기어, 완곡어 (4) 관용어, 속담 (5)전문어 (6)새말
2. 어휘의 양상
(1)방언
(2)은어, 속어
(3) 금기어, 완곡어
(4) 관용어, 속담
(5)전문어
(6)새말
학습목표
• 국어 어휘의 다양한 양상에 대하여 안다.
• 국어의 어휘를 풍부하게 발전시키고자 하는 태도를 기른다.
들어가기
* 우리 말에는 같은 의미를 가진 말도 다른 말로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역이 서로 다르거나, 다른 사람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예로는 방언과 은어, 속어가 있습니다.이제 방언과 은어, 속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방언
* 사회방언
: 연령, 성별, 사회 집단 등에 따라 분화된 말
* 지역방언 :
: 지역에 따라 달라진 말.
동북방언/ 서북방언/중부방언/동남방언/서남방언/제주방언
그 외
* 고동 - 표준어
* 우렁이 -표준어
* 올갱이-'다슬기'의 방언(강원, 충북)
* 올뱅이-'다슬기'의 방언(강원, 충북)
은어, 속어
* 은어
뜻: 어떤 폐쇄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발생한 말
유사한 말: 비밀어
일반 사회에 알려지면 즉시 변경되는 것이 원칙임
* 속어
뜻: 비속하고 천박한 어감을 주는 말
유사한 말: 비속어(卑俗語), 비어(卑語)
공식적이거난 점잖은 자리에서는 쓰이지 않음
장난기 어린 표현, 신기한 표현, 반항적인 표현, 구체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사실적인 표현을 위하여 사용됨
금기어, 완곡어
* 금기어
* 뜻: 불쾌하고 두려운 것을 연상하게 하여 입밖에 내기를 싫어하는 말
*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음
* 완곡어
* 뜻: 금기어를 불쾌감이 덜하도록 대체한 말
*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상황과 장면을 고려하여 완곡어를 사용하여야 함
다음 단어들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관용어, 속담
* 관용어 : 둘 이상의 단어들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으로 굳어진 말
* 속담: 우리의 전통적 생활 문화와 농축된 삶의 지혜가 완결된 문장의 형태로 들어있는 표현
* 공통점: 다채로운 표현 효과를 지님
민족의 문화나 사고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언어 문화 자산임
속담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이미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소용없다는 말.
*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 거린다고 한다.
:자기의 허물이 더 크면서 허물이 적은 사람을 나무라거나 흉보는 것을 이르는 말.
전문어, 새말
* 국어의 어휘 중에는 특수한 전문 분야에서 작업을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휘인 전문어가 있으며, 사회가 변화 발전함에 따라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하는 새말이 있습니다. 그러면, 전문어와 새말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문어
* 뜻 : 전문적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구처럼 사용하는 말
* 특성:
첫째, 의미의 다의성이 적다.
둘째, 의미가 문맥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셋째, 감정적인 의미가 개입되지 않는다.
넷째, 일반 사회의 기본 어휘로 사용되는 경향이 적다.
다섯째, 새말의 생성이 활발하다.
여섯째, 의미에 의도적인 규제가 가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일곱째, 외래어로부터 차용된 어휘가 많다.
여덟째, 국제성이 강하다.
다음 그림을 보고 해당분야의 전문어를 아는 것은 그 분야를 이해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이야기 해 보자.
* 전문어는 그 분야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여러 도구들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어휘로 해당분야의 일을 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문어를 잘 아는 것은 그 분야에 관해 전문지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새말
* 뜻: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언어 사회에 새로이 등장하는 어휘
* 새로운 말소리를 사용할 경우 받아들이기 어렵고, 기존의 말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의미가 방해를 하는 경우가 많음 외국어을 그대로 빌려 쓰는 경우가 많음.
최근 생겨난 새말
기존의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첨가된 새말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테소리 & 코메니우스 비교 (0) | 2018.10.23 |
---|---|
세계 문화 요소에 의한 지역구분 (0) | 2018.10.20 |
아메리카의 다양한 혼합문화 (0) | 2018.10.10 |
우리나라 커피 판매점의 역사 - 다방. 별다방. 까페 등 (0) | 2018.10.05 |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 (0) | 201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