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0F204A579D845C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6C94A579D845F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AED4A579D8462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D2F4A579D8464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DDE4A579D8466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5DE4A579D8467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11EE4A579D8469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77649579D846C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627949579D846F0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EF749579D8470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54C149579D8471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25849579D8473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24349579D84763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CB849579D84770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7CC4D579D847819)
임진왜란의발발임진왜란의발발
.조선
.
양반
사회의
분열로
사회적
혼란
.일본
.
국내의
혼란
을
수습하기
위해
해
외로
관심을
돌림
임진왜란
(조선
침략
)
일본의조선침공준비으으흐기다려라조선!
일본의조선침공준비으으흐기다려라조선!
조선원정의시작
1592년4월13일병선: 700 여선총병력: 20 만명조선원정의시작
1592년4월13일병선: 700 여선총병력: 20 만명
조선일본전쟁의시작4월14일:부산성함락조선일본전쟁의시작4월14일:부산성함락
왜군의북진2군(좌로): 동래-언양-
경주-영천-군위-조령-
충주-용인-한강1군(중로): 동래-양산-
청도-대구-선산-상주-
조령-충주-여주-용진나루-경성동로3군(우로): 김해-성주-지례-등산-추풍령-
영동-청주-경기도왜군의북진2군(좌로): 동래-언양-
경주-영천-군위-조령-
충주-용인-한강1군(중로): 동래-양산-
청도-대구-선산-상주-
조령-충주-여주-용진나루-경성동로3군(우로): 김해-성주-지례-등산-추풍령-
영동-청주-경기도
전쟁의전개1592년4월25일-상주에서수변사이일의패배1592년4월28
일-신립이이끄는관군8천여명이충주방어실패탄금대서신립전사15
92
년4
월30
일선조평양으로피난1592년5월3
일한성함락전쟁의전개1592년4월25일-상주에서수변사이일의패배1592년4월28
일-신립이이끄는관군8천여명이충주방어실패탄금대서신립전사15
92
년4
월30
일선조평양으로피난1592년5월3
일한성함락
성웅 이순신 성웅이순신
임진란이
일어나기
1년전
전라좌수사로
여수에
부임한
이순
신은
판옥선과
거북선을
만들고
, 무기를
정비하여
수군을
훈
련시키고
군량미를
저장하는
등
온갖
방비를
주력하였다
. 1 년
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 이순신은
전선
24척을
모아
5월
4일
출동하여
5월
7일제
1차
옥포해전을
승리로
이끈데
이어
, 5 월
29일
경상도
사천에서
승첩하고
6월
2일
당포에서
승첩하였으
니
이것이
제
2차
당포해전
이었다
.
풍신수길의조선침략에대한사형선고한산도대첩
풍신수길의조선침략에대한사형선고한산도대첩
1592년
7월
8일
조선
수군
56
척이
거북선을
중심으로
한산
도에서
학익진을
형성하여
적
선을
포위
공격하여
대승을
거
둠. 이
전투결과
적선
총
76척
중
63척이
격파되거나
나포됨
의병의항쟁의병의항쟁
의병이란의병전술
대표의병장조직성
자발적으로
부대를
조직
, 나라에
대한
충의를
내걸고
싸운
무장
부대로
농민이
주축을
이루었고
지도자는
전
직관료, 유학자, 승려들이었다
.
향토지리에
익숙하고
향토조건에
알맞은
무기와
전술
을
터득
적은
병력으로
대
병력을
적대하기
위해
정면
충돌보다는
매복
,기습,위장
등과
같은
전술을
많이
써
서
적에게
괴로움을
많이
줌
임진왜란이
장기화되면서
왜적에
대한
반격작전이
강화됨. 산발적으로
일어난
의병부대를
정리하여
관
군에
편입시켜
관군의
전투능력
향상과
조직화됨
곽재우-의령, 김천일-나주, 조헌-금산, 고경명-담양,
정문부-길주, 서산대사
-묘향산, 사명당-금강산
왜란의극복왜란의극복
수군과
의병의
승전
보급로차단진공차단
명에
구원군
요청
행주산성
승리
진주성
승리
구원병4만5
천여명파견.
평양성탈환
행주대첩행주대첩
1593 년
권율이
조경
,
처형과
함께
2천
8백
여명의
군사를
이끌
고
행주산성에서
3
만에
이르는
왜군
과
맞서싸워큰승
리를
거두었다
.
진주대첩
1592년진주목사김시민를비롯한아군3,800 여명이왜군2만여명을맞아6일간의치열한전투끝에적을물리침(1차진주성싸움). 이듬해인1593년에는창의사김천일, 경상우도병마절도사최경회, 충청도병마절도사황진등을비롯한민, 관, 군7
만여명이진주성을공격해온왜군12만1천6백여명을맞아11일간의치열한전투끝에모두순국(2차진주성싸움)
진주대첩
1592년진주목사김시민를비롯한아군3,800 여명이왜군2만여명을맞아6일간의치열한전투끝에적을물리침(1차진주성싸움). 이듬해
인
1593년에는
창의사
김천
일,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최
경회, 충청도병마절도사
황
진
등을
비롯한
민
, 관, 군
7
만여명이
진주성을
공격해
온
왜군
12만1천6백여명을
맞아
11일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모두
순국
(2차
진주성
싸움)
전쟁의끝왜군14만1500으로재침입(정유재란)
조명연합군, 노량대첩에서일본군대파이순신전사토요토미사망, 일본군총퇴각전쟁의끝왜군14만1500으로재침입(정유재란)
조명연합군, 노량대첩에서일본군대파이순신전사토요토미사망, 일본군총퇴각
왜란의영향
농촌의
황폐
, 은
이몽학의
난
등
민란의
결의
증가
, 국가
발생, 공명첩의
남발
(신
질서의
문란
분제도
붕괴
)
왜병의
방화로
불국사
,
경복궁
등의
건물과
왕
조실록
및
서적
소실
, 문
비변사의강화와훈련도감을비롯한군사기구개편의학서적편찬, 애국심의발로와자아반성, 일본의문화발전에큰영향
화재약탈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