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인물
• 프로이드 : 중산 계급이 견지하는 도덕성과 합리성을 깨뜨림
• 아인슈타인 : 안정되고 객관적인 뉴턴의 세계상을 관측자에 따라 규정되는 상대적 세계상으로 대체하여, 시공간의 절대성을 깨뜨림
• 피카소 : 기존의 예술규범, 즉 현실의 재현이 아닌 형태를 강조함.
• 스트라빈스키: 단일조성과 단순한 리듬법에 원시적이면서 복합적 리듬과 다조성을 수용
• 엘리엇 : 고전적 시와 서사에 도전
• 마사 그라함 : 고전 발레를 전복
• 간디 ; 새로운 저항 방식, 비폭력적인 독립
한 곳에서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하면 다른 곳으로 전파된다.
이로써 시대의 특징이 갖추어진다.
현대의 종말(포스트모던, 탈현대)
소위 포스트모던 또는 탈현대라고 불리는 20세기 말에 선포된 현대의 종말은 현대에 대한 4가지 정의가 이미 효력을 상실했음을 보여줍니다.
첫째, 진보와 발전의 개념은 사라지고, 정체와 동일한 것이 무한히 반복하고 순환된다는 의식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유토피아라는 낙관적 믿음에서 울리히 벡이 정의한 위험사회의 도래라는 비관적인 위기의식이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둘째, 오늘날 세계를 지배하는 권력은 더 이상 국가가 아니라,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탈바꿈시킨 다국적 기업이 되었습니다. 또한 소비사회의 출현으로 개인은 사회나 국가의 지배가 아니라 시장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습니다.
현대의 종말(포스트모던, 탈현대)
셋째, 리오타르가 탈현대를 정의한 것처럼 이 세계는 형이상학이라는 거대 담론이 소멸한 사회가 되었습니다.
종교는 매력적인 사업으로, 철학은 알아들을 수 없는 궤변으로, 예술은 외설적인 엔터테인먼트가 되어 버렸습니다.
종교와 철학과 예술은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거부하고, 다른 세계를 모색하는 부정과 초월의 힘을 상실하고, 소비사회의 비도덕적인 쾌락주의와 순응주의에 온전히 동화되었습니다.
넷째, 유럽 중심주의의 해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지금까지 서구 문명권이 일방적으로 누렸던 정신적 도덕적 정치적 경제적 권위가 땅에 떨어졌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서구와 다른 세계라는 중심부와 주변부의 논리가 사라지게 되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현대의 종말(포스트모던, 탈현대)
이 같은 변화를 단순하게 경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현대에서 , 탈현대(포스트모던)로의 전환은
정치의 헤게모니가 경제의 헤게모니로 이동하게 된 과정
: 즉 현대는 자유와 평등과 연대(형제애)를 이 땅에 실현하는 이상주의적인 정치적인 기획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포스트모던 시대는 무엇보다 시장 만능주의라는 경제적인 기획이 정치적인 기획을 대체하게 되면서
즉 사회를 지배하는 데 있어서 경제의 힘이 정치의 힘을 훨씬 능가하게 되면서,
사회적 연대와 기회의 평등이라는 가치는 너무 쉽게 포기되었고,
대신에 무한 경쟁이라는 시장의 논리가 지배하는 소비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무엇보다 물질적 풍요를 꿈꾸었지만,
실제로 적자생존의 정글의 법칙의 지배아래서 불안과 피곤함 속에 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 소비사회 자체가 갖고 있는 모순들이 현실화되면서 사람들은 피로와 분노를 느끼기 시작하는 징후들이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대의 종말(포스트모던, 탈현대)
특히 무한한 성장이라는 신화가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국가부도 사태가 일어나고 있고,
실업문제는 구조적으로 더 악화되고 있고, 빈부격차도 인류 역사상 유례없을 정도로 커져가면서
세계 각지에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분노가 점차 가시화되면서 폭발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 대중의 반란, 오르테가 이 가셋, 2005, 역사비평서 [출처] 포스트모던 시대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현대에 대한 정의'|작성자 altazor http://blog.naver.com/altazor1?Redirect=Log&logNo=50114639862
• 평발, 짝발, 족저근막염 등 마라토너에게는 치명적인 온갖 신체적인 함은 다 갖고 있는 상처투성이 용사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모든 악조건을 이겨내고 마라톤 풀코스 41회 완주를 해냄
• 성격이 내성적이며 부끄러움을 많이탄다라고 많이 알려져있지만 팀 동료들 사이에서는 장난을 먼저치며 분위기를이끌어간다고 한다.
중요대회 및 업적
• 1990년 제71회 전국체육대회 마라톤 2위
1995년 동아마라톤대회 우승
• 1996년 제26회 애틀란타 올림픽마라톤 은메달
• 1996년 제50회 후쿠오카 마라톤 우승
• 1997년 코라콜라 체육대상
•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마라톤 금메달
• 2000년 동경국제마라톤대회 2위
• 2001년 제105회 보스턴 마라톤 우승
• 2001년 자황컵 체육대상 최우수선수상
•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마라톤 우승
• 2007년 서울국제마라톤 우승
• 2009년 제90회 전국체육대회 마라톤 남자일반부 우승
• 2009년 체육훈장 청룡장
• 2009년 제10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공로상
• 2009년 11월7일 은퇴
• 마라톤 풀코스 41회 완주
• 한국 마라톤 기록 보유(2시간7분6초)
• 세계 어떤 마라토너도 40번의 풀코스를 완주한 마라토너는 존재하지않았습니다.
• 하지만 이봉주는 42번의 경기에 출전해 총 40번의 마라톤 풀코스 완주를 했습니다. 물론 기록도 중요하지만
마라톤 42.195km코스를 포기하지않고 41번이나 완주를 해내고야 마는 끈기와 인내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자기관리 능력.
운동법
• 로니 콜먼의 훈련 주기는 일주일에 6일훈련, 1일휴식
• 첫3일 동안 신체 모든 부위를 훈련한다. 이때는 파워와 근매스의 증가를 위해 무거운 중량으로 파워리프팅
• 그후, 다시 3일동안 모든 부위에 대한 운동을 하는데 이때는 데피니션 향상을 위한 훈련을 한다.
매 세트마다 반복횟수를 정해두고 훈련한다.
식단표
생애
• ‘오프라 윈프리는 1954년 미시시피주 코시어스코에서 태어났다.
• 아홉살 때 부터 주변의 오빠, 어머니의 남자친구나 친척 아저씨 등에게 끊임없는 학대를 받았다.
• 열네살에 미숙아를 사산했으며,
• 73년 테네시 주립대학에서 ‘의사 전달과 공연 예술’을 전공,
• 73년 내쉬빌 WTVF-TV 리포터 겸 앵커로 방송계에 첫발을 내딛었다.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족관 실험 (0) | 2019.01.18 |
---|---|
海町diary-是枝裕和 (0) | 2019.01.14 |
Inside Man - Director: Spike Lee (0) | 2018.12.26 |
The fall of Aztec (0) | 2018.12.23 |
윤리적 딜레마 (0) | 2018.12.18 |